Paper 99 The Social Problems of Religion 종교의 사회적 문제

Paper 99

The Social Problems of Religion 종교의 사회적 문제

1. Religion and Social Reconstruction 종교와 사회 재건(再建)
2. Weakness of Institutional Religion 제도 종교의 약점
3. Religion and the Religionist 종교와 종교인
4. Transition Difficulties 과도기(過渡期) 어려움
5. Social Aspects of Religion 종교의 사회적 모습
6. Institutional Religion 제도(制度) 종교
7. Religion’s Contribution 종교의 기여(寄與)

99:0.1 (1086.1) RELIGION achieves its highest social ministry when it has least connection with the secular institutions of society. In past ages, since social reforms were largely confined to the moral realms, religion did not have to adjust its attitude to extensive changes in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s. The chief problem of religion was the endeavor to replace evil with good within the existing social order of political and economic culture. Religion has thus indirectly tended to perpetuate the established order of society, to foster the maintenance of the existent type of civilization. 종교는 사회의 세속 제도와 가장 관련이 적을 때 그 최고의 사회적 사역을 수행합니다. 과거 시대에, 사회 개혁은 주로 도덕적 영역에 한정되었기 때문에 종교는 경제 및 정치 제도의 광대한 변화에 그 태도를 조정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종교의 주된 문제는 정치적 및 경제적 문화의 기존 사회 질서 안에서 악(惡)을 선(善)으로 대체하려는 시도였습니다. 그래서 종교는 간접적으로 사회의 기존 질서를 보존하고, 현존하는 유형의 문명(文明)을 유지하도록 조장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99:0.2 (1086.2) But religion should not be directly concerned either with the creation of new social orders or with the preservation of old ones. True religion does oppose violence as a technique of social evolution, but it does not oppose the intelligent efforts of society to adapt its usages and adjust its institutions to new economic conditions and cultural requirements. 그러나 종교는 새로운 사회 질서의 창조나 오래된 질서의 보존에 직접 관여하지 말아야 합니다. 참된 종교는 사회 진화의 기법으로서 폭력에 반대하지만, 그것은 새로운 경제 상황과 문화적 필요에 그 관례를 순응시키고 그 제도를 조정하는 사회의 지능적 노력에는 반대하지 않습니다.

99:0.3 (1086.3) Religion did approve the occasional social reforms of past centuries, but in the twentieth century it is of necessity called upon to face adjustment to extensive and continuing social reconstruction. Conditions of living alter so rapidly that institutional modifications must be greatly accelerated, and religion must accordingly quicken its adaptation to this new and ever-changing social order. 종교는 때때로 지난 수 세기의 사회 개혁을 승인했지만, 20세기에 종교는 다방면에 걸쳐 계속되는 사회 재건에 대한 적응에 직면하도록 필연적으로 요청받고 있습니다. 생활 사정이 빠르게 달라져서 제도적 변경은 매우 가속되어야 하고, 따라서 종교는 이토록 새롭게 늘 변하는 사회 질서에 따라 그 적응하는 속력을 더해야 합니다.

1. Religion and Social Reconstruction 종교와 사회 재건(再建)

99:1.1 (1086.4) Mechanical inventions and the dissemination of knowledge are modifying civilization; certain economic adjustments and social changes are imperative if cultural disaster is to be avoided. This new and oncoming social order will not settle down complacently for a millennium. The human race must become reconciled to a procession of changes, adjustments, and readjustments. Mankind is on the march toward a new and unrevealed planetary destiny. 문화적 재난을 피하려면, 확실한 경제적 조정(調整)과 사회적 변화가 필수적입니다. 이렇게 새롭게 다가오는 사회적 질서는 천 년 동안 만족스럽게 안정되지 않을 것입니다. 인류는 변화, 조정 및 재조정(再調整)의 행렬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인류는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행성의 운명을 향하여 진행 중입니다.

99:1.2 (1086.5) Religion must become a forceful influence for moral stability and spiritual progression functioning dynamically in the midst of these ever-changing conditions and never-ending economic adjustments. 종교는 늘 변하는 상황과 끝없는 경제적 조정(調整)의 한가운데에서 도덕적 안정과 영적 발전을 위해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강력한 영향력이 되어야 합니다.

99:1.3 (1086.6) Urantia society can never hope to settle down as in past ages. The social ship has steamed out of the sheltered bays of established tradition and has begun its cruise upon the high seas of evolutionary destiny; and the soul of man, as never before in the world’s history, needs carefully to scrutinize its charts of morality and painstakingly to observe the compass of religious guidance. The paramount mission of religion as a social influence is to stabilize the ideals of mankind during these dangerous times of transition from one phase of civilization to another, from one level of culture to another. 유란시아 사회는 지나간 시대처럼 안정되기를 바랄 수 없습니다. 사회적 함선(艦船)은 기존 전통의 보호를 받고 있던 만(灣)에서 출항(出港)했고, 진화 운명(運命)의 공해(公海)에서 순항(巡航)을 시작했습니다. 인간의 혼(魂)은, 세계 역사에서 전에 없이, 품행(品行)이라는 혼(魂)의 해도(海圖)를 주의 깊게 자세히 조사하고 종교적 안내의 나침반을 공들여서 준수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사회적 영향력으로써, 종교의 최고 사명은 문명의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문화의 한 수준에서 다른 수준으로 넘어가는, 이렇게 위태로운 과도기(過渡期)에 인류의 이상(理想)을 안정시키는 것입니다.

99:1.4 (1087.1) Religion has no new duties to perform, but it is urgently called upon to function as a wise guide and experienced counselor in all of these new and rapidly changing human situations. Society is becoming more mechanical, more compact, more complex, and more critically interdependent. Religion must function to prevent these new and intimate interassociations from becoming mutually retrogressive or even destructive. Religion must act as the cosmic salt which prevents the ferments of progression from destroying the cultural savor of civilization. These new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upheavals can result in lasting brotherhood only by the ministry of religion. 종교가 새롭게 수행할 의무는 없지만, 그것은 이렇게 급변하는 새로운 이 모든 인간 상황에서 현명한 안내자와 노련한 조언자로서 역할을 다하도록 다급히 요청받고 있습니다. 사회는 더 기계화되고, 더 긴밀해지며, 더 복잡해지고, 아슬아슬하게 서로 더 의존하고 있습니다. 종교는 이토록 새롭게 친밀한 상호연합이 서로 퇴보하거나 파괴적으로 변하는 것까지 막는 역할을 다해야 합니다. 종교는 진보의 효소(酵素)가 문명의 문화적 풍미를 파괴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질서 우주의 소금으로서 직무를 다해야 합니다. 이렇게 새로운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격변은 종교의 봉사에 의해서만 오래가는 형제공동체로 끝날 수 있습니다.

99:1.5 (1087.2) A godless humanitarianism is, humanly speaking, a noble gesture, but true religion is the only power which can lastingly increase the responsiveness of one social group to the needs and sufferings of other groups. In the past, institutional religion could remain passive while the upper strata of society turned a deaf ear to the sufferings and oppression of the helpless lower strata, but in modern times these lower social orders are no longer so abjectly ignorant nor so politically helpless. 신을 믿지 않는 인도주의(人道主義)는 인간적으로 말해서 고상한 태도지만, 참된 종교는 다른 집단의 필요와 고난에 대한 한 사회 집단의 민감한 반응을 영속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유일한 힘입니다. 과거에는 사회의 상류층이 무력한 하류층의 고난과 학대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동안 제도 종교는 수동적 상태로 있었지만, 현대에는 이런 사회의 하류 집단은 더 이상 그렇게 비참하도록 무지하지도 않고 그렇게 정치적으로 무력하지도 않습니다.

99:1.6 (1087.3) Religion must not become organically involved in the secular work of social reconstruction and economic reorganization. But it must actively keep pace with all these advances in civilization by making clear-cut and vigorous restatements of its moral mandates and spiritual precepts, its progressive philosophy of human living and transcendent survival. The spirit of religion is eternal, but the form of its expression must be restated every time the dictionary of human language is revised. 종교는 사회 재건(再建)과 경제 재편성(再編成)의 세속 업무에 근본적으로 관련되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 도덕적 명령과 영적 교훈, 즉 그 인간적 생활과 초월적 생존의 진보적 철학을 선명하고 단호하게 재천명(再闡明)하여 이런 모든 문명의 진보에 활발히 보조를 맞춰야 합니다. 종교의 영(靈)은 영원하나, 그것을 표현하는 형태는 인간 언어의 사전이 개정될 때마다 새로 진술되어야 합니다.

2. Weakness of Institutional Religion 제도 종교의 약점

99:2.1 (1087.4) Institutional religion cannot afford inspiration and provide leadership in this impending world-wide social reconstruction and economic reorganization because it has unfortunately become more or less of an organic part of the social order and the economic system which is destined to undergo reconstruction. Only the real religion of personal spiritual experience can function helpfully and creatively in the present crisis of civilization. 제도 종교는 이렇게 임박한 세계적인 사회 재건과 경제 재편에 영적 통찰력을 줄 수 없고 지도력을 제공할 수도 없는데, 그것은 거의 공교롭게 재건(再建)될 운명으로 정해진 사회 질서와 경제 체제의 유기적 일부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 영적 체험의 참된 종교만이 문명의 현재 위기에 유용하게 독창적으로 역할을 다할 수 있습니다.

99:2.2 (1087.5) Institutional religion is now caught in the stalemate of a vicious circle. It cannot reconstruct society without first reconstructing itself; and being so much an integral part of the established order, it cannot reconstruct itself until society has been radically reconstructed. 제도 종교는 지금 악순환의 교착(膠着)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그것은 먼저 자신을 재건하지 않고는 사회를 재건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그만큼 기존 질서의 필수적 부분이 되어서, 그것은 사회가 철저히 재건될 때까지 스스로 재건할 수 없습니다.

99:2.3 (1087.6) Religionists must function in society, in industry, and in politics as individuals, not as groups, parties, or institutions. A religious group which presumes to function as such, apart from religious activities, immediately becomes a political party, an economic organization, or a social institution. Religious collectivism must confine its efforts to the furtherance of religious causes. 종교인은 사회, 산업과 정치에서 집단, 정당과 기관이 아닌 개인으로서, 역할을 다해야 합니다. 종교 활동을 제쳐두고 감히 그렇게 활동하려는 종교 집단은 즉시 정당, 경제 기구나 사회 기관이 됩니다. 종교의 집단 행동적 경향은 그 종교적 대의명분을 증진하려는 노력에 국한(局限)해야 합니다.

99:2.4 (1087.7) Religionists are of no more value in the tasks of social reconstruction than nonreligionists except in so far as their religion has conferred upon them enhanced cosmic foresight and endowed them with that superior social wisdom which is born of the sincere desire to love God supremely and to love every man as a brother in the heavenly kingdom. An ideal social order is that in which every man loves his neighbor as he loves himself. 종교인들은 자신들의 종교가 자신들에게 높아진 질서 우주적 통찰력을 주고, 하느님을 최고로 사랑하고 모든 사람을 하늘나라의 형제로서 사랑하려는 진실한 소망에서 태어난, 뛰어난 사회적 지혜를 부여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사회 재건의 임무에서 비종교인들과 다르지 않습니다. 이상적(理想的)인 사회 질서는 모든 사람이 자신을 사랑하듯이 자기 이웃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99:2.5 (1087.8) The institutionalized church may have appeared to serve society in the past by glorifying the established political and economic orders, but it must speedily cease such action if it is to survive. Its only proper attitude consists in the teaching of nonviolence, the doctrine of peaceful evolution in the place of violent revolution — peace on earth and good will among all men. 제도화된 교회는 과거에 기존 정치 및 경제 질서를 지나치게 칭찬하여서 사회에 봉사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었지만, 그것이 살아남으려면 지체하지 말고 그런 행동을 그만두어야 합니다. 제도화된 교회의 유일한 바람직한 태도는 비폭력, 격렬한 혁명 대신에 평화로운 점진적 변화의 교리 – 지상의 평화와 모든 사람 사이의 친선(親善)을 가르치는 데 있습니다.

99:2.6 (1088.1) Modern religion finds it difficult to adjust its attitude toward the rapidly shifting social changes only because it has permitted itself to become so thoroughly traditionalized, dogmatized, and institutionalized. The religion of living experience finds no difficulty in keeping ahead of all these social developments and economic upheavals, amid which it ever functions as a moral stabilizer, social guide, and spiritual pilot. True religion carries over from one age to another the worth-while culture and that wisdom which is born of the experience of knowing God and striving to be like him. 현대 종교가 급변하는 사회 변화에 그 태도를 맞추기 어려운 이유는 그 스스로 너무 속속들이 전통화, 교리화, 제도화되도록 내버려 두었기 때문입니다. 살아 있는 체험의 종교는 이런 모든 사회 발전과 경제 격변에 앞서가면서 그 한가운데에서 도덕적 안정자, 사회 안내자 및 영적 선도자로서 언제나 그 역할을 다하는 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참된 종교는 하느님을 알고 그와 같이 되려고 애쓰는 체험에서 비롯된 훌륭한 문화와 그런 지혜를 한 시대에서 다른 시대로 이어갑니다.

3. Religion and the Religionist 종교와 종교인

99:3.1 (1088.2) Early Christianity was entirely free from all civil entanglements, social commitments, and economic alliances. Only did later institutionalized Christianity become an organic part of the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 of Occidental civilization. 초기 기독교는 모든 시민 분규, 사회 공약과 경제적 협력의 염려가 아예 없었습니다. 나중에 제도화된 기독교만이 서양 문명의 정치 및 사회 구조의 유기적 일부가 되었습니다.

99:3.2 (1088.3) The kingdom of heaven is neither a social nor economic order; it is an exclusively spiritual brotherhood of God-knowing individuals. True, such a brotherhood is in itself a new and amazing social phenomenon attended by astounding political and economic repercussions. 하늘나라는 사회 질서가 아니고 경제 질서도 아닙니다. 그것은 오로지 하느님을 아는 개인들의 영적 형제공동체입니다. 사실 그런 형제공동체는 그 자체로 아주 대단한 정치 및 경제적 영향력이 더불어 생기는, 굉장히 새로운 사회 현상입니다.

99:3.3 (1088.4) The religionist is not unsympathetic with social suffering, not unmindful of civil injustice, not insulated from economic thinking, neither insensible to political tyranny. Religion influences social reconstruction directly because it spiritualizes and idealizes the individual citizen. Indirectly, cultural civilization is influenced by the attitude of these individual religionists as they become active and influential members of various social, moral, economic, and political groups. 종교인은 사회적 고통에 냉담하지 않고, 시민의 불평등에 무심하지 않으며, 경제적 사상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지 않고, 정치적 폭정에 무감각하지도 않습니다. 종교는 개별 시민을 영화(靈化)하고 이상화(理想化)하기 때문에, 사회 재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이런 개별 종교인들이 다양한 사회적, 도덕적, 경제적, 정치적 집단에서 활동하는 유력한 일원이 될 때 이들의 태도로 문화의 문명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99:3.4 (1088.5) The attainment of a high cultural civilization demands, first, the ideal type of citizen and, then, ideal and adequate social mechanisms wherewith such a citizenry may control the economic and political institutions of such an advanced human society. 높은 문화 문명을 성취하려면 먼저 이상적(理想的) 유형의 시민이 필요하고, 다음에는 그런 시민들이 그것으로, 그렇게 진보적인 인간 사회의 경제 및 정치 제도를 감독할 수도 있는 이상적(理想的)인 적절한 사회적 구조(構造)가 필요합니다.

99:3.5 (1088.6) The church, because of overmuch false sentiment, has long ministered to the underprivileged and the unfortunate, and this has all been well, but this same sentiment has led to the unwise perpetuation of racially degenerate stocks which have tremendously retarded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교회는 과도하게 거짓된 정서로 인해서 취약계층과 불행한 자들을 오랫동안 보살폈고, 이 모두가 잘 진행되었지만, 바로 이런 정서가 문명의 진보를 엄청나게 방해한, 인종적으로 퇴화한 혈통이 분별없이 보존되도록 이끌었습니다.

99:3.6 (1088.7) Many individual social reconstructionists, while vehemently repudiating institutionalized religion, are, after all, zealously religious in the propagation of their social reforms. And so it is that religious motivation, personal and more or less unrecognized, is playing a great part in the present-day program of social reconstruction. 여러 개인적 사회 재건(再建) 주의자들은 제도화된 종교를 맹렬하게 거부하면서도 결국 자신들의 사회개혁을 선전하는 데는 열광적으로 종교적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이며 거의 인식되지 않은 종교적 동기(動機)가 현대 사회 재건의 일정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99:3.7 (1088.8) The great weakness of all this unrecognized and unconscious type of religious activity is that it is unable to profit from open religious criticism and thereby attain to profitable levels of self-correction. It is a fact that religion does not grow unless it is disciplined by constructive criticism, amplified by philosophy, purified by science, and nourished by loyal fellowship. 이렇게 인식되지 않고 무의식적인 유형의 모든 종교 활동의 커다란 약점은 공개적인 종교적 비평에서 도움을 받을 수 없어서 유익한 수준의 자기-교정(矯正)에 이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종교가 건설적 비평으로 단련되고, 철학으로 확장되며, 과학으로 더러움을 제거하고, 충직한 친교로 영양분을 받지 않는 한, 그것이 성장하지 못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99:3.8 (1088.9) There is always the great danger that religion will become distorted and perverted into the pursuit of false goals, as when in times of war each contending nation prostitutes its religion into military propaganda. Loveless zeal is always harmful to religion, while persecution diverts the activities of religion into the achievement of some sociologic or theologic drive. 종교는, 전시(戰時)에 각 교전국(交戰國)이 자신의 종교를 군사적 선전으로 악용할 때처럼, 일그러져 왜곡되어 거짓된 목표를 추구하게 될 커다란 위험이 언제나 있습니다. 사랑 없는 열정은 언제나 종교에 해롭지만, 박해는 종교 활동을 어떤 사회학 또는 신학적으로 거침없이 나아가도록 바꾸어 놓습니다.

99:3.9 (1089.1) Religion can be kept free from unholy secular alliances only by: 종교는 다음 것들로만 더럽혀진 세속적 관련성을 벗어날 수 있습니다.

99:3.10 (1089.2) 1. A critically corrective philosophy. 비평적으로 교정(矯正)하는 철학.

99:3.11 (1089.3) 2. Freedom from all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alliances. 모든 사회적, 경제적 및 정치적 관계에서 벗어남.

99:3.12 (1089.4) 3. Creative, comforting, and love-expanding fellowships. 창조적으로 격려하며 사랑을 확장하는 친교.

99:3.13 (1089.5) 4. Progressive enhancement of spiritual insight and the appreciation of cosmic values. 영적 통찰력의 점진적 강화와 질서 우주적 가치의 올바른 이해.

99:3.14 (1089.6) 5. Prevention of fanaticism by the compensations of the scientific mental attitude. 과학적 정신 태도의 보정(補正)으로 광신(狂信) 예방.

99:3.15 (1089.7) Religionists, as a group, must never concern themselves with anything but religion, albeit any one such religionist, as an individual citizen, may become the outstanding leader of some social, economic, or political reconstruction movement. 개별 시민으로서, 그런 어느 한 종교인이 어떤 사회적, 경제적, 또는 정치적 재건 운동의 뛰어난 지도자가 될 수도 있지만, 한 집단으로서, 종교인들은 종교 외에 무엇이든 절대로 관여하지 말아야 합니다.

99:3.16 (1089.8) It is the business of religion to create, sustain, and inspire such a cosmic loyalty in the individual citizen as will direct him to the achievement of success in the advancement of all these difficult but desirable social services. 어렵지만 바람직한 이런 모든 사회적 봉사의 진보에서 성공을 성취하도록 개별 시민을 안내할 그런 질서 우주적 충성심을 그 개별 시민 안에 창조하고, 유지하며, 불어넣는 것이 종교의 직무입니다.

4. Transition Difficulties 과도기(過渡期) 어려움

99:4.1 (1089.9) Genuine religion renders the religionist socially fragrant and creates insights into human fellowship. But the formalization of religious groups many times destroys the very values for the promotion of which the group was organized. Human friendship and divine religion are mutually helpful and significantly illuminating if the growth in each is equalized and harmonized. Religion puts new meaning into all group associations — families, schools, and clubs. It imparts new values to play and exalts all true humor. 진품 종교는 종교인을 사회적으로 향기롭게 하고 인간 친교에 통찰력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종교 집단의 형식화로 그 집단이 조직되어 앞장서서 주장한 그 가치가 여러 번 파괴됩니다. 인간의 우정과 신적 종교는 서로 도움이 되고 각자의 성장이 동등하고 조화된다면 상당히 밝게 합니다. 종교는 가족, 학교와 동호회 등 모든 집단적 연대(連帶)에 새로운 의미를 더합니다. 그것은 활동에 새로운 가치를 주고 모든 참된 유머의 효과를 강화합니다.

99:4.2 (1089.10) Social leadership is transformed by spiritual insight; religion prevents all collective movements from losing sight of their true objectives. Together with children, religion is the great unifier of family life, provided it is a living and growing faith. Family life cannot be had without children; it can be lived without religion, but such a handicap enormously multiplies the difficulties of this intimate human association. During the early decades of the twentieth century, family life, next to personal religious experience, suffers most from the decadence consequent upon the transition from old religious loyalties to the emerging new meanings and values. 사회 지도력은 영적 통찰력에 의해 변화됩니다. 종교는 모든 집단적 활동이 그들의 참된 목표를 잃어버리지 않게 예방합니다. 자녀들을 포함하여, 종교가 살아 있어서 성장하는 신앙이라면, 그것은 가정생활의 위대한 통합체입니다. 가정생활은 자녀들 없이 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종교 없이 할 수 있지만, 그런 장애(障礙)는 이렇게 친밀한 인간 결합의 어려움을 엄청나게 증가시킵니다. 20세기 초(初) 수십 년 동안, 개인적 종교 체험 다음으로 가정생활은 오래된 종교적 충성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의미와 가치로 변화하는 결과로 일어나는 쇠퇴(衰退)로 가장 큰 고통을 겪습니다.

99:4.3 (1089.11) True religion is a meaningful way of living dynamically face to face with the commonplace realities of everyday life. But if religion is to stimulate individual development of character and augment integration of personality, it must not be standardized. If it is to stimulate evaluation of experience and serve as a value-lure, it must not be stereotyped. If religion is to promote supreme loyalties, it must not be formalized. 참된 종교는 일상생활의 평범한 현실을 활기 있게 직면하는 의미심장한 생활 방식입니다. 그러나 종교가 개인적 인성(人性) 발달을 자극하고 인격(고유성)의 통합을 증대하려면, 그것은 규격화되지 말아야 합니다. 그것이 경험의 평가를 자극하고 가치의 매력으로 도움이 되려면, 그것은 틀에 박히지 말아야 합니다. 종교가 최고의 충성을 증진하려면, 그것은 형식화되지 말아야 합니다.

99:4.4 (1089.12) No matter what upheavals may attend the social and economic growth of civilization, religion is genuine and worth while if it fosters in the individual an experience in which the sovereignty of truth, beauty, and goodness prevails, for such is the true spiritual concept of supreme reality. And through love and worship this becomes meaningful as fellowship with man and sonship with God. 문명의 사회적, 경제적 성장에 어떤 격변이 따르더라도, 종교가 진리, 아름다움, 선(善)의 주권이 우세한 체험을 개인적으로 촉진한다면, 그것은 진정으로 가치가 있으니, 그것이 최고의 실체에 대한 참된 영적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사랑과 경배를 통해 이것은 사람과 함께하는 하느님의 아들(자녀) 됨으로써 뜻이 매우 깊습니다.

99:4.5 (1090.1) After all, it is what one believes rather than what one knows that determines conduct and dominates personal performances. Purely factual knowledge exerts very little influence upon the average man unless it becomes emotionally activated. But the activation of religion is superemotional, unifying the entire human experience on transcendent levels through contact with, and release of, spiritual energies in the mortal life. 결국 행위를 결정하고 개인적 성과를 좌우하는 것은 사람이 아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믿는 것입니다. 아주 사실적인 지식은 그것이 감정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으면 보통 사람에게 거의 영향력이 없습니다. 그러나 종교의 활성화는 초(超) 감정적이며, 필사자 생활에서 영적 에너지와 접촉하고 방출하면서 초월적 수준에 있는 모든 인간의 체험을 통합합니다.

99:4.6 (1090.2) During the psychologically unsettled times of the twentieth century, amid the economic upheavals, the moral crosscurrents, and the sociologic rip tides of the cyclonic transitions of a scientific era, thousands upon thousands of men and women have become humanly dislocated; they are anxious, restless, fearful, uncertain, and unsettled; as never before in the world’s history they need the consolation and stabilization of sound religion. In the face of unprecedented scientific achievement and mechanical development there is spiritual stagnation and philosophic chaos. 20세기의 심리학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에, 경제적 격변, 도덕적인 반주류적(反主流的) 경향 및 과학 시대의 격렬한 과도기(過渡期)의 사회학적 역조(逆潮)의 한복판에서 수천수만의 남녀들은 인간적 견지에서 뒤죽박죽입니다. 그들은 불안하고, 들떠 있으며, 두려워하고, 변덕스러우며, 불안정합니다. 세계 역사상 전에 없이 그들은 건전한 종교의 위로와 안정이 필요합니다. 전례 없는 과학적 성취와 기계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영적 침체와 철학적 대혼란이 있습니다.

99:4.7 (1090.3) There is no danger in religion’s becoming more and more of a private matter — a personal experience — provided it does not lose its motivation for unselfish and loving social service. Religion has suffered from many secondary influences: sudden mixing of cultures, intermingling of creeds, diminution of ecclesiastical authority, changing of family life, together with urbanization and mechanization. 종교가 이타적이며 애정이 깊은 사회적 봉사의 동기를 잃어버리지 않는다면, 종교가 더욱더 사적 문제, 즉 개인 체험이 되어도 위험하지 않습니다. 종교는 도시화 및 기계화와 더불어 갑작스러운 문화의 혼합, 뒤섞인 신조들, 교회 권위의 축소, 가정생활의 변화 등 여러 부차적 영향으로 고통을 받았습니다.

99:4.8 (1090.4) Man’s greatest spiritual jeopardy consists in partial progress, the predicament of unfinished growth: forsaking the evolutionary religions of fear without immediately grasping the revelatory religion of love. Modern science, particularly psychology, has weakened only those religions which are so largely dependent upon fear, superstition, and emotion. 사람의 가장 큰 영적 위기는 부분적 진보, 완료되지 않은 성장의 곤경, 즉 사랑의 계시 종교를 바로 파악하지 않고, 두려움의 진화 종교를 버리는 데에 있습니다. 현대 과학, 특히 심리학은 두려움, 미신과 감정을 그토록 크게 의존하는 그런 종교들만 약하게 했습니다.

99:4.9 (1090.5) Transition is always accompanied by confusion, and there will be little tranquillity in the religious world until the great struggle between the three contending philosophies of religion is ended: 과도기에는 언제나 혼란이 따라서 일어나며, 서로 다투는 세 가지 종교 철학 사이에서 커다란 투쟁이 끝날 때까지, 종교계에는 평안이 거의 없을 것입니다.

99:4.10 (1090.6) 1. The spiritistic belief (in a providential Deity) of many religions. 여러 종교의 (섭리적 신神)에 대한 심령적 믿음.

99:4.11 (1090.7) 2. The humanistic and idealistic belief of many philosophies. 여러 철학의 인도주의적 및 관념론적 믿음.

99:4.12 (1090.8) 3. The mechanistic and naturalistic conceptions of many sciences. 여러 과학의 기계론적 및 자연주의적 개념 작용들.

99:4.13 (1090.9) And these three partial approaches to the reality of the cosmos must eventually become harmonized by the revelatory presentation of religion, philosophy, and cosmology which portrays the triune existence of spirit, mind, and energy proceeding from the Trinity of Paradise and attaining time-space unification within the Deity of the Supreme. 그리고 질서 우주의 실체에 대한 이런 세 가지 부분적 접근은 결국, 천국의 삼위일체에서 비롯하여 최극자의 신(神)의 내부에서 시간-공간의 통합에 이르는, 영(靈), 마음 및 에너지의 삼자일치 실존을 묘사하는 종교, 철학 및 우주론의 계시적 표현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5. Social Aspects of Religion 종교의 사회적 모습

99:5.1 (1090.10) While religion is exclusively a personal spiritual experience — knowing God as a Father — the corollary of this experience — knowing man as a brother — entails the adjustment of the self to other selves, and that involves the social or group aspect of religious life. Religion is first an inner or personal adjustment, and then it becomes a matter of social service or group adjustment. The fact of man’s gregariousness perforce determines that religious groups will come into existence. What happens to these religious groups depends very much on intelligent leadership. In primitive society the religious group is not always very different from economic or political groups. Religion has always been a conservator of morals and a stabilizer of society. And this is still true, notwithstanding the contrary teaching of many modern socialists and humanists. 종교는 오로지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개인적인 영적 체험이지만, 사람을 형제로 아는 이런 체험의 당연한 결과로 타아(他我)들에 대한 자아(自我)의 적응이 일어나며, 그것은 사회적 또는 집단적 측면의 종교 생활을 포함합니다. 종교는 먼저 내적 혹은 개인적 적응이며, 그다음에 그것은 사회적 봉사 또는 집단적 적응의 문제가 됩니다. 사람이 사교적(社交的)이라는 사실은 필연적으로 종교 집단이 나타날 것을 결정합니다. 이런 종교 집단에 무엇이 일어나는지는 지능적 지도력에 아주 많이 좌우됩니다. 원시 사회에서 종교 집단은 경제적 또는 정치 집단과 언제나 아주 다르지 않습니다. 종교는 언제나 도덕의 보호자와 사회의 안정자였습니다. 그리고 현대의 여러 사회주의자와 인본주의자가 반대로 가르치지만, 이것은 여전히 맞습니다.

99:5.2 (1091.1) Always keep in mind: True religion is to know God as your Father and man as your brother. Religion is not a slavish belief in threats of punishment or magical promises of future mystical rewards. 언제나 명심하십시오. 참된 종교는 하느님을 너의 아버지로 알고 사람을 너의 형제로 아는 것입니다. 종교는 처벌의 위협이나 미래의 신비적 보상에 대한 마술적 약속을 믿는 맹종(盲從)이 아닙니다.

99:5.3 (1091.2) The religion of Jesus is the most dynamic influence ever to activate the human race. Jesus shattered tradition, destroyed dogma, and called mankind to the achievement of its highest ideals in time and eternity — to be perfect, even as the Father in heaven is perfect. 예수의 종교는 지금까지 없었던, 인류를 활성화하는 가장 역동적인 영향력입니다. 예수는 전통을 산산이 부수고, 독단(獨斷 교리)을 파괴했으며, 하늘에 계신 아버지가 온전(穩全)한 것처럼 온전(穩全)하게 되라는 시간과 영원의 최고 이상(理想)을 성취하도록 인류를 불렀습니다(마5:48).

99:5.4 (1091.3) Religion has little chance to function until the religious group becomes separated from all other groups — the social association of the spiritual membership of the kingdom of heaven. 종교 집단이 다른 모든 집단 – 하늘나라의 영적 회원권의 사회적 연합과 분리될 때까지 종교는 그 역할을 다할 기회가 거의 없습니다.

99:5.5 (1091.4) The doctrine of the total depravity of man destroyed much of the potential of religion for effecting social repercussions of an uplifting nature and of inspirational value. Jesus sought to restore man’s dignity when he declared that all men are the children of God. 인간의 전적 타락 교리는 희망을 주는 본성과 영감(靈感)을 받은 가치의 사회적 영향을 초래하는 종교의 잠재력을 많이 파괴했습니다. 예수는 모든 사람이 하느님의 자녀라고 선언하여 인간의 존엄을 회복하려 했습니다(행17:28-29).

99:5.6 (1091.5) Any religious belief which is effective in spiritualizing the believer is certain to have powerful repercussions in the social life of such a religionist. Religious experience unfailingly yields the “fruits of the spirit” in the daily life of the spirit-led mortal. 믿는 자를 효과적으로 영화(靈化)하는 종교적 믿음이라면, 그런 종교인의 사회생활에 강력한 영향이 분명히 있습니다. 종교 체험은 영(靈)이 이끄는 필사자의 일상생활에서 틀림없이 “영의 열매”를 맺습니다(갈5:22-23, 엡5:9).

99:5.7 (1091.6) Just as certainly as men share their religious beliefs, they create a religious group of some sort which eventually creates common goals. Someday religionists will get together and actually effect co-operation on the basis of unity of ideals and purposes rather than attempting to do so on the basis of psychological opinions and theological beliefs. Goals rather than creeds should unify religionists. Since true religion is a matter of personal spiritual experience, it is inevitable that each individual religionist must have his ow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of the realization of that spiritual experience. Let the term “faith” stand for the individual’s relation to God rather than for the creedal formulation of what some group of mortals have been able to agree upon as a common religious attitude. “Have you faith? Then have it to yourself.” 사람들이 자신들의 종교적 믿음들을 공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확실하게, 그들은 결국 공통의 목표를 일으키는 어떤 유형의 종교 집단을 창설합니다. 언젠가 종교인들은 모여서, 심리학적 견해와 신학적 믿음의 기초에서 그렇게 협력하려고 시도하기보다 이상(理想)과 목적의 일치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협력할 것입니다. 신조(信條)들이라기보다 오히려 목표(目標)들이 종교인들을 통합해야 합니다. 참된 종교는 개인적 영적 체험의 문제이므로, 개별 종교인 각자 그런 영적 체험의 실현에 대해 자신만의 개인적 해석을 갖는 것이 필연적입니다. “신앙”이라는 용어가 어떤 필사자 집단이 공통된 종교적 태도로서 의견을 같이할 수 있는 신조(信條)의 형식화라기보다 오히려 하느님에 대한 개인의 관계를 뜻하게 하십시오. “너희에게 신앙이 있는가? 그렇다면 스스로 그것을 지니라(롬14:22a).”

99:5.8 (1091.7) That faith is concerned only with the grasp of ideal values is shown by the New Testament definition which declares that faith is the substance of things hoped for and the evidence of things not seen. 신앙(信仰)은 바라는 것들의 실체이며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히11:1)라고 선언하는 신약 성서의 정의(定義)에 의해서 그런 신앙(信仰)은 이상적(理想的) 가치의 파악에만 관련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99:5.9 (1091.8) Primitive man made little effort to put his religious convictions into words. His religion was danced out rather than thought out. Modern men have thought out many creeds and created many tests of religious faith. Future religionists must live out their religion, dedicate themselves to the wholehearted service of the brotherhood of man. It is high time that man had a religious experience so personal and so sublime that it could be realized and expressed only by “feelings that lie too deep for words.” 원시인은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말로 표현하려고 거의 애쓰지 않았습니다. 그의 종교는 생각하기보다 오히려 춤으로 드러났습니다. 현대인들은 여러 신조를 생각해 냈고 종교적 신앙에 대한 여러 시금석(試金石)을 만들어 냈습니다. 미래 종교인들은 자신의 종교를 살면서 사람의 형제공동체에 대한 전심의 봉사에 전념해야 합니다. 지금이야말로 사람은, 너무 개인적이고 너무 고상해서 “말로 표현하기에 너무 깊은 감정”으로만 실현되고 표현될 수 있는 종교적 체험을 할 때입니다.

99:5.10 (1091.9) Jesus did not require of his followers that they should periodically assemble and recite a form of words indicative of their common beliefs. He only ordained that they should gather together to actually do something — partake of the communal supper of the remembrance of his bestowal life on Urantia. 예수는 자기 추종자들에게 그들이 주기적으로 모여서 자신들의 공통적 믿음을 나타내는 어떤 형태의 말을 암송하라고 요구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그들이 모여서 실제로 뭔가를 하도록, 즉 유란시아에서 자신의 증여 일생을 기념하는 공동 만찬에 참여해야 한다고 명할 뿐이었습니다.

99:5.11 (1091.10) What a mistake for Christians to make when, in presenting Christ as the supreme ideal of spiritual leadership, they dare to require God-conscious men and women to reject the historic leadership of the God-knowing men who have contributed to their particular national or racial illumination during past ages. 기독교인들이 그리스도를 영적 지도력의 최고 이상(理想)으로 제시하면서, 그들이 감히 하느님을 의식하는 남녀들에게 과거 시대에 자신들의 특정한 국가적 혹은 인종적인 계몽에 공헌했던, 하느님을 아는 사람들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도력을 거절하라고 요구하는 것이 얼마나 큰 실수인가.

6. Institutional Religion 제도(制度) 종교

99:6.1 (1092.1) Sectarianism is a disease of institutional religion, and dogmatism is an enslavement of the spiritual nature. It is far better to have a religion without a church than a church without religion. The religious turmoil of the twentieth century does not, in and of itself, betoken spiritual decadence. Confusion goes before growth as well as before destruction. 종파(宗派)주의는 제도(制度) 종교의 질병이며, 독단주의(獨斷主義)는 영적 본성을 노예로 삼는 상태입니다. 종교 없는 교회보다 교회 없는 종교가 훨씬 낫습니다. 20세기의 종교적 혼란은 그 자체가 영적 타락의 조짐이 되지 않습니다. 혼동은 파멸 전(前)과 마찬가지로 성장 전(前)에도 일어납니다.

99:6.2 (1092.2) There is a real purpose in the socialization of religion. It is the purpose of group religious activities to dramatize the loyalties of religion; to magnify the lures of truth, beauty, and goodness; to foster the attractions of supreme values; to enhance the service of unselfish fellowship; to glorify the potentials of family life; to promote religious education; to provide wise counsel and spiritual guidance; and to encourage group worship. And all live religions encourage human friendship, conserve morality, promote neighborhood welfare, and facilitate the spread of the essential gospel of their respective messages of eternal salvation. 종교의 사회화에는 진정한 목적이 있습니다. 집단적 종교 활동의 목적은 종교의 충성심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진리, 아름다움과 선(善)의 매력을 확대하며, 최고 가치로 끄는 힘을 육성하고, 욕심 없는 친교의 봉사를 향상하며, 가족생활의 잠재력을 드높이고, 종교 교육을 장려하며, 슬기로운 조언과 영적 안내를 제공하고, 집단적 경배를 권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모든 살아 있는 종교는 인간의 우정을 격려하고, 도덕을 보존하며, 이웃의 복지를 증진하고, 그들 각자의 영원한 구원의 메시지라는 필수적인 복음 전파를 촉진합니다.

99:6.3 (1092.3) But as religion becomes institutionalized, its power for good is curtailed, while the possibilities for evil are greatly multiplied. The dangers of formalized religion are: fixation of beliefs and crystallization of sentiments; accumulation of vested interests with increase of secularization; tendency to standardize and fossilize truth; diversion of religion from the service of God to the service of the church; inclination of leaders to become administrators instead of ministers; tendency to form sects and competitive divisions; establishment of oppressive ecclesiastical authority; creation of the aristocratic “chosen-people” attitude; fostering of false and exaggerated ideas of sacredness; the routinizing of religion and the petrification of worship; tendency to venerate the past while ignoring present demands; failure to make up-to-date interpretations of religion; entanglement with functions of secular institutions; it creates the evil discrimination of religious castes; it becomes an intolerant judge of orthodoxy; it fails to hold the interest of adventurous youth and gradually loses the saving message of the gospel of eternal salvation. 그러나 종교가 제도화(制度化)될수록, 선(善)에 대한 그 종교의 권세를 빼앗기는 한편 악(惡)의 가능성은 매우 늘어납니다. 공식 종교의 위험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음들의 고착(固着)과 정서(情緖)의 결정화, 세속화의 증가로 기득권(旣得權)의 축적, 진리의 규격화(規格化)와 화석화(化石化) 경향, 하느님을 섬기다가 교회 봉사로 빠지는 종교의 전환, 성직(사역)자들 대신에 관리(행정)자들이 되는 지도자들의 성향, 교파를 형성하여 경쟁적으로 분열하는 경향, 압제적 교회 권위의 확립, 귀족적 “신의 선민(選民)” 태도의 창작, 신성(神聖)에 대해 거짓되고 과장된 개념의 조장, 종교의 관례화(慣例化)와 예배의 석화(石化), 현재 요구를 무시하면서 과거를 받들어 모시는 풍조, 종교에 대한 최신 해석의 실패, 세속 제도의 역할에 말려듦, 공식 종교가 종교적 특권계급의 악한 차별 대우를 만들어 냅니다. 공식(형식화) 종교는 정통성을 편협하게 판단합니다. 그것은 모험적인 청년들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영원한 구원의 복음에 대한 구원의 메시지를 서서히 잃어버립니다.

99:6.4 (1092.4) Formal religion restrains men in their personal spiritual activities instead of releasing them for heightened service as kingdom builders. 형식적인 종교는 사람들이 하느님 나라 건축자들로 고상하게 봉사하도록 풀어놓는 대신에 그들의 개인적인 영적 활동을 억누릅니다.

7. Religion’s Contribution 종교의 기여(寄與)

99:7.1 (1092.5) Though churches and all other religious groups should stand aloof from all secular activities, at the same time religion must do nothing to hinder or retard the social co-ordination of human institutions. Life must continue to grow in meaningfulness; man must go on with his reformation of philosophy and his clarification of religion. 교회들과 다른 모든 종교 집단은 모든 세속적 활동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하지만, 동시에 종교는 인간 제도의 사회적 조정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는 아무것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삶은 계속 의미 있게 성장해야 합니다; 사람은 자신의 철학을 개혁하고 자신의 종교를 계속 정화(淨化)해야 합니다.

99:7.2 (1092.6) Political science must effect the reconstruction of economics and industry by the techniques it learns from the social sciences and by the insights and motives supplied by religious living. In all social reconstruction religion provides a stabilizing loyalty to a transcendent object, a steadying goal beyond and above the immediate and temporal objective. In the midst of the confusions of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mortal man needs the sustenance of a far-flung cosmic perspective. 정치학은 사회과학에서 배운 기법과 종교 생활이 제공한 통찰력과 동기로 경제와 산업의 재건을 실행해야 합니다. 모든 사회 재건에서, 종교는 초월적 대상, 즉 당면한 현세적 목표를 넘어 그 이상(以上)의 견고한 목적에 대한 안정된 충성심을 제공합니다. 급변하는 환경의 혼란 속에서 필사 사람은 멀리 떨어진 질서 우주적 전망의 유지(維持)를 필요로 합니다.

99:7.3 (1093.1) Religion inspires man to live courageously and joyfully on the face of the earth; it joins patience with passion, insight to zeal, sympathy with power, and ideals with energy. 종교는 사람이 지구상에서 씩씩하고 기쁘게 살아갈 마음을 품게 합니다; 그것은 인내와 열정, 통찰력과 열심, 공감과 능력, 이상(理想)과 에너지를 결합합니다.

99:7.4 (1093.2) Man can never wisely decide temporal issues or transcend the selfishness of personal interests unless he meditates in the presence of the sovereignty of God and reckons with the realities of divine meanings and spiritual values. 사람은 하느님의 주권 앞에서 잘 생각하면서 신적 의미와 영적 가치의 실체를 헤아려 보지 않으면, 절대로 현세의 문제들을 현명하게 결정하거나 개인적 이익의 이기심을 넘어설 수 없습니다.

99:7.5 (1093.3)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social fraternity will ultimately conduce to brotherhood. Man is naturally a dreamer, but science is sobering him so that religion can presently activate him with far less danger of precipitating fanatical reactions. Economic necessities tie man up with reality, and personal religious experience brings this same man face to face with the eternal realities of an ever-expanding and progressing cosmic citizenship. 경제적 상호 의존과 사회적 형제애는 결국 형제공동체로 이끌어 갈 것입니다. 사람은 나면서부터 몽상가이지만, 종교가 사람을 광신적 반응에 갑자기 빠뜨릴 위험을 훨씬 줄이면서 그를 당장 활동할 수 있도록 과학이 사람을 침착해지도록 합니다. 경제적 필요성이 사람을 현실로 동여매며, 개인적 종교 체험은 바로 이 사람을 늘 확장하며 진보하는 질서 우주 시민권의 영적 실체에 직면하게 합니다.

99:7.6 (1093.4) [Presented by a Melchizedek of Nebadon.][네바돈의 멜기세덱이 제시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