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84 Marriage and Family Life 개요84편 결혼과 가정생활

S84 Marriage and Family Life 개요84편 결혼과 가정생활

84:0.1 (931.1) Home building should be the center and essence of all educational effort. 가정 세우기는 모든 교육적 노력의 중심과 본질이 되어야 합니다. 84:0.2 (931.2) The family is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river of culture and knowledge flows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 가정은, 문화와 지식의 강(江)이 한 세대에서 다른 세대로 흐르는 경로입니다. 84:0.3 (931.3) The home is basically a sociologic institution. 가정은 원래 사회 조직 제도입니다.

1. Primitive Pair Associations 원시 부부 결합

84:1.1 (931.4) Marriage was not founded on sex relations. 결혼은 성(性)관계에 근거를 두지 않았습니다. 84:1.2 (931.5) Woman, because of physical and emotional attachment to her offspring, is dependent on co-operation with the male, and this urges her into the sheltering protection of marriage. 여성은, 자녀에 대한 육체적, 정서적 애착 때문에, 남성과 함께하는 협력에 의존하며, 이런 충동이 그녀를 결혼의 보호 안으로 피하게 합니다. 84:1.3 (931.6) Marriage was not even brought about by the conscious realization of the obligations of sex relations. 결혼은 성(性)관계의 의무에 대한 의식적 자각으로 생긴 것도 아니었습니다.

84:1.4 (932.1) Many early peoples associated ghosts with the sea. 초기에 여러 민족은 유령(幽靈)을 바다와 관련지었습니다. 84:1.5 (932.2) The first step in enlightenment came with the belief that sex relations opened up the way for the impregnating ghost to enter the female. 성(性)관계로, 임신시키는 유령(幽靈)이 여성에게 들어가는 길이 열렸다는 믿음에서, 계몽의 첫 단계가 따라왔습니다.

84:1.6 (932.3) A family of some simple sort was insured by the fact that the reproductive function entails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생식(生殖) 기능이 어머니-자녀 관계를 일으킨다는 사실로 인해 어떤 단순한 유형의 가족이 보장되었습니다. 84:1.7 (932.4) The mother and child relation is natural, strong, and instinctive, and one which, therefore, constrained primitive women to submit to many strange conditions and to endure untold hardships. 어머니와 자녀 관계는 자연스럽고, 강력하며, 본능적이어서, 원시 여성들이 여러 낯선 상황들을 감수하고 무수한 고난을 견디도록 했습니다.

84:1.8 (932.5) While the mother-child association is neither marriage nor home, it was the nucleus from which both sprang. 어머니-자녀 관계는 결혼도 아니고 가정도 아니지만, 그것은 두 가지가 솟아 나온 핵심이었습니다. 84:1.9 (932.6) Regardless of the antagonisms of these early pairs, notwithstanding the looseness of the association, the chances for survival were greatly improved by these male-female partnerships. 이런 초기 부부들의 대립과 관계없이, 그 결합이 느슨했지만, 생존 기회는 이런 남녀 협동으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2. The Early Mother-Family 초기 모계(母系)-가정

84:2.1 (932.7) The woman’s periodic hemorrhage and her further loss of blood at childbirth early suggested blood as the creator of the child (even as the seat of the soul) and gave origin to the blood-bond concept of human relationships. 여성의 주기적 출혈과 추가적인 분만 출혈로, 피를 아이의 창조자 (심지어 혼魂의 자리로) 연상하여, 인간관계에 속한 혈연(血緣) 개념이 최초로 생겼습니다. 84:2.2 (932.8) The primitive family, growing out of the instinctive biologic blood bond of mother and child, was inevitably a mother-family. 본능적으로 어머니와 자녀의 생물학적 혈연에서 생긴 원시 가정은 불가피하게 모계(母系) 가정이었습니다. 84:2.3 (933.1) Under the mother-family mores the wife’s mother enjoyed virtually supreme authority in the home. 모계(母系)-가정의 관습에 따라, 아내의 어머니가 가정에서 사실상 최고의 권위를 누렸습니다.

84:2.4 (933.2) The earliest races gave little credit to the father, looking upon the child as coming altogether from the mother. 아주 초기의 종족들은, 자녀를 전적으로 어머니 출신으로 여기면서, 아버지를 거의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84:2.5 (933.3) At first, it was the custom for the man to go to his wife’s people, but in later times, after a man had paid or worked out the bride price, he could take his wife and children back to his own people. 처음에는, 남성이 아내의 가족에게 가는 것이 관습이었지만, 후일에 남성이 신붓값을 치르거나 일해서 갚은 후, 그는 자기 아내와 자녀를 자기 가족에게 데려올 수 있었습니다. 84:2.6 (933.4) With the passing of the hunter mores, when herding gave man control of the chief food supply, the mother-family came to a speedy end. 사냥 관습이 지나가고, 사람이 목축을 주요한 식량 공급으로 장악하면서, 모계(母系)-가정이 빨리 끝났습니다. 84:2.7 (933.5) The stupendous change from the mother-family to the father-family is one of the most radical and complete right-about-face adjustments ever executed by the human race. 모계(母系)-가정에서 부계(父系)-가정으로의 엄청난 변화는 인류가 일찍이 실행했던 가장 철저하고 완전한 180도 전환 조율 중 하나였습니다.

3. The Family Under Father Dominance 가부장(家父長) 가정

84:3.1 (933.6) It may be that the instinct of motherhood led woman into marriage, but it was man’s superior strength, together with the influence of the mores, that virtually compelled her to remain in wedlock. 모성 본능이 여성을 결혼으로 이끌었다고 할 수 있지만, 사실상 여성이 결혼 생활을 하지 않을 수 없게 한 것은, 관습의 영향과 함께 남성의 우수한 힘이었습니다. 84:3.2 (934.1) The scant courtesy paid womankind during the Old Testament era is a true reflection of the mores of the herdsmen. 구약(舊約) 시대에 여성을 아무렇게나 대우한 것은 목자의 관습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84:3.3 (934.2) But man was no more to blame for his low opinion of woman during past ages than was woman herself. 그러나 과거 시대에 여성에 대한 낮은 평가는 남성이 아니라 여성 자신의 탓이었습니다. 84:3.4 (934.3) Primitive women also unintentionally created their dependence on the male by their admiration and applause for his pugnacity and virility. 원시 여성들도 남성의 호전성(好戰性)과 박력(迫力)을 기리고 칭찬하여 무심결에 남성을 의존했습니다. 84:3.5 (934.4) Among the more advanced races, women are not so large or so strong as men. 더 앞선 종족에서 여성들은 남성들처럼 크거나 강하지 않습니다.

84:3.6 (934.5) The herdsman looked to his flocks for sustenance, but throughout these pastoral ages woman must still provide the vegetable food. Primitive man shunned the soil. 목자(牧者)들은 생계를 위해 자기 가축 떼를 돌봤지만, 이런 목축 시대에 여성은 여전히 채소 식량을 마련해야 했습니다. 84:3.7 (934.6) Woman has always had to work; at least right up to modern times the female has been a real producer. 여성은 언제나 일해야 했습니다. 적어도 현대까지 여성은 실질적 생산자였습니다. 84:3.8 (934.7) Woman’s first liberation came when man consented to till the soil, consented to do what had theretofore been regarded as woman’s work. 남성이 경작하기로 동의하고, 그 이전에 여성의 일로 여겼던 것을 하기로 동의했을 때, 여성의 첫 해방이 왔습니다. 84:3.9 (934.8) Before the herding stage of society, mothers used to nurse their babies until they were four and five years old. 사회의 목축 단계 이전에는, 아기들이 4~5세가 될 때까지 어머니들이 자기 아기들에게 젖을 먹이곤 했습니다. 84:3.10 (934.9) Decreasing primitive warfare greatly lessened the disparity between the division of labor based on sex. 원시 전쟁의 감소로 성별에 따른 분업 사이의 격차가 크게 줄었습니다.

4. Woman’s Status in Early Society 초기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

84:4.1 (935.1) Generally speaking, during any age woman’s status is a fair criterion of the evolutionary progress of marriage as a social institution. 보통, 어떤 시대라도 여성의 지위는, 사회 제도로서 결혼에 대한 진화적 진보의 공정한 기준입니다. 84:4.2 (935.2) Woman’s status has always been a social paradox. 여성의 지위는 언제나 사회적 역설(逆說)이었습니다. 84:4.3 (935.3) Early woman was not to man a friend, sweetheart, lover, and partner but rather a piece of property, a servant or slave and, later on, an economic partner, plaything, and childbearer. 초기 여성은 남성에게 친구, 애인, 연인, 배우자가 아니라 오히려 재산의 일부, 하인이나 노예였고, 나중에는 경제적 동반자, 노리개 그리고 아이 낳는 자였습니다.

84:4.4 (935.4) The sexes have had great difficulty in understanding each other. 남녀는 서로 이해하기가 아주 어려웠습니다. 84:4.5 (935.5) Men have long regarded women as peculiar, even abnormal. 남성들은 여성들이 유별나며, 정상이 아니라고까지 오랫동안 여겼습니다. 84:4.6 (935.6) Childbearing was once generally looked upon as rendering a woman dangerous and unclean. 한때 해산(解産)이 대개 여성을 위험하고 불결하게 하는 것으로 여겼습니다.

84:4.7 (935.7) Among the unmixed tribes, childbirth was comparatively easy, occupying only two or three hours; it is seldom so easy among the mixed races. 순수한 부족 중에서 분만은, 2~3시간만 걸려서, 상당히 쉬웠습니다. 혼합 인종 중에 분만은 거의 그렇게 쉽지 않습니다. 84:4.8 (936.1) The so-called modesty of women respecting their clothing and the exposure of the person grew out of the deadly fear of being observed at the time of a menstrual period. 여성의 의복과 신체의 노출에 관해 소위 여성의 정숙(貞淑)은 월경 기간에 발견되는 지독한 걱정에서 비롯되었습니다. 84:4.9 (936.2) However foolish these olden notions were, they did some good since they gave overworked females, at least when young, one week each month for welcome rest and profitable meditation. 이런 옛 개념들이 아무리 어리석었어도, 그것들은 과로한 여성들에게 적어도 젊었을 때, 자유롭게 쉬고 유익하게 묵상하도록 매월 1주일씩 주었기 때문에, 그것들은 일부 쓸모가 있었습니다.

84:4.10 (936.3) A great advance was made when a man was denied the right to kill his wife at will. 남성이 자기 아내를 마음대로 죽일 권리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커다란 진보가 이루어졌습니다. 84:4.11 (936.4) But primitive women did not pity themselves as their more recently liberated sisters are wont to do. They were, after all, fairly happy and contented. 그러나 원시 여성들은, 더 최근에 해방된 자매들이 곧잘 하듯이, 자신들을 딱하게 여기지 않았습니다. 결국 그들은 상당히 행복하고 만족했습니다.

5. Woman Under the Developing Mores 발전하는 관습에 따른 여성

84:5.1 (936.5) In self-perpetuation woman is man’s equal, but in the partnership of self-maintenance she labors at a decided disadvantage, and this handicap of enforced maternity can only be compensated by the enlightened mores of advancing civilization and by man’s increasing sense of acquired fairness. 자아-영속에서 여성은 남성과 평등하지만, 자아를-유지하는 협력에서 여성은 명백히 불리한 입장에서 온 힘을 기울이며, 강요된 모성애로 인한 이런 불이익은 발전하는 문명의 진보한 관습과 기득(旣得 이미 차지하고 있는) 공정성에 대한 남성의 체증(遞增 점차 늘어나는) 감각으로 상쇄(相殺)될 뿐입니다.

84:5.2 (936.6) As society evolved, the sex standards rose higher among women because they suffered more from the consequences of the transgression of the sex mores. 사회가 진화하면서, 여성들 사이에서 성별 기준이 더 높아졌는데, 성별 관습을 어긴 결과로 그들이 더 많이 고생했기 때문입니다. 84:5.3 (936.7) The modern idea of sex equality is beautiful and worthy of an expanding civilization, but it is not found in nature. 현대의 남녀평등 관념은 확장하는 문명에 훌륭하고 가치가 있지만,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습니다. 84:5.4 (937.1) But man did not consciously nor intentionally seize woman’s rights and then gradually and grudgingly give them back to her. 그러나 남성이 의식적으로나 의도적으로 여성의 권리를 빼앗지 않았으며 그 후 점차 마지못해 여성에게 그것들을 돌려줍니다.

84:5.5 (937.2) The Adamites and Nodites accorded women increased recognition, and those group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migrating Andites have tended to be influenced by the Edenic teachings regarding women’s place in society. 아담-사람들과 놋-사람들은 여자들을 갈수록 더 인정했으며, 이주하는 안드-사람들에게 영향을 받은 그런 집단은 사회에서 여성의 처지에 관한 에덴의 가르침으로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84:5.6 (937.3) The early Chinese and the Greeks treated women better than did most surrounding peoples. But the Hebrews were exceedingly distrustful of them. 초기 중국인과 그리스인(人)들은 대부분의 주변 민족들보다 여성들을 더 잘 대우했습니다. 그러나 히브리인(人)들은 여성들을 지나치게 믿지 않았습니다.

84:5.7 (937.4) Science, not religion, really emancipated woman. 종교가 아니라 과학이 실제로 여성을 해방했습니다. 84:5.8 (937.5) These changes have tended toward woman’s liberation from domestic slavery and have brought about such a modification of her status that she now enjoys a degree of personal liberty and sex determination that practically equals man’s. 이런 변화들은 여성을 가사 노예 상태에서 해방하는 경향이 있었고, 여성의 지위가 변경되어 사실상 남성의 사정에 못지않은 어느 정도의 개인적 해방과 성별 결정을 이제 누립니다. 84:5.9 (937.6) The reaction of enlightened peoples from the inequitable mores governing woman’s place in society has indeed been pendulumlike in its extremeness. 사회에서 여성의 처지를 결정하는 불공정한 관습에서 개화된 민족들의 반응은 실로 극도로 추와 같았습니다.

84:5.10 (937.7) In the ideals of pair marriage, woman has finally won recognition, dignity, independence, equality, and education. 일부일처의 이상(理想)들로 여성은 결국 인정, 존엄성, 독립, 평등과 교육을 얻었습니다. 84:5.11 (938.1) Woman is man’s equal partner in race reproduction, hence just as important in the unfolding of racial evolution. 여성은 종족 번식에서 동등한 남성의 동반자이므로, 종족 진화의 전개에서 똑같이 중요합니다. 84:5.12 (938.2) Each sex has its own distinctive sphere of existence, together with its own rights within that sphere. 남녀 각각 자신의 독특한 존재 영역과 그 영역 내에서 자신의 권리를 갖고 있습니다. 84:5.13 (938.3) Civilization never can obliterate the behavior gulf between the sexes. 문명은 결코 남녀 간의 행동 차이를 없앨 수 없습니다. 84:5.14 (938.4) Each sex will always have its own special sphere, albeit they will ever and anon overlap. 각 남녀는, 자기 특유의 영역들이 때때로 겹쳐질지라도, 항상 자기 특유의 영역을 가질 것입니다.

6. The Partnership of Man and Woman 남성과 여성의 협력

84:6.1 (938.5) The reproductive urge unfailingly brings men and women together for self-perpetuation but, alone, does not insure their remaining together in mutual co-operation — the founding of a home. 번식(繁殖) 충동이 자아-영속을 위해 남녀를 확실히 결합하게 하지만, 그것만으로, 그들이 함께 남아 서로 협력하면서 가정을 세우도록 책임지게 하지는 않습니다.
84:6.2 (938.6) Every successful human institution embraces antagonisms of personal interest which have been adjusted to practical working harmony, and homemaking is no exception. 성공한 어떤 인간 제도나 실제로 활동이 조화되도록 조율한 개인적 이익의 대립을 포함하며, 가정 관리도 예외가 아닙니다. 84:6.3 (938.7) Male and female are, practically regarded, two distinct varieties of the same species living in close and intimate association. 남녀는 실제로, 밀접하게 친한 관계로 살아가는 동종(同種)의 다른 두 변종(變種)으로 여겨집니다. 84:6.4 (938.8) Woman has always been the moral standard-bearer and the spiritual leader of mankind. 여성은 언제나 인류의 도덕적 기수(旗手)와 영적 지도자였습니다.
84:6.5 (938.9) The differences of nature, reaction, viewpoint, and thinking between men and women, far from occasioning concern, should be regarded as highly beneficial to mankind,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남녀 사이의 본성, 반응, 관점 및 사고의 차이는, 우려(憂慮)는커녕, 개별로, 공동으로 인류에게 대단히 유익한 것으로 여겨야 합니다. 84:6.6 (939.1) Men and women need each other in their morontial and spiritual as well as in their mortal careers. 남성들과 여성들은 필사자 생애들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모론시아와 영적 생애들에서도 서로를 필요로 합니다.
84:6.7 (939.2) While the sexes never can hope fully to understand each other, they are effectively complementary, and though co-operation is often more or less personally antagonistic, it is capable of maintaining and reproducing society. 남녀가 서로 완전히 이해하기를 바랄 수 없지만, 그들은 사실상 서로 보완하는 관계이며, 협력은 종종 거의 개인적으로 대립하지만, 공동체를 유지하고 재생시킬 능력이 있습니다. 84:6.8 (939.3) Marriage is the mother of all human institutions, for it leads directly to home founding and home maintenance, which is the structural basis of society. 결혼은, 사회 조직의 토대인 가정을, 선두에 서서 바로 세우고 가정을 유지하기 때문에, 모든 인간 제도의 원천입니다.

7. The Ideals of Family Life 가정생활의 이상(理想)들

84:7.1 (939.4) Sex mating is instinctive, children are the natural result, and the family thus automatically comes into existence. 성적 짝짓기는 본능적이고, 자녀는 자연스러운 결과여서 가정은 자동으로 생깁니다. 84:7.2 (939.5) Woman’s instinct to love and care for children conspired to make her the interested party in promoting marriage and primitive family life. 자녀를 사랑하고 돌보는 여성의 본능 때문에 여성은 결혼과 원시 가정생활을 촉진하는 이해당사자가 됩니다.

84:7.3 (939.6) Sex association is natural, but marriage is social and has always been regulated by the mores. 성적 결합은 자연스럽지만, 결혼은 사회적이며 항상 관습으로 규정되었습니다. 84:7.4 (939.7) 1. The new role of religion 종교의 새 역할 84:7.5 (940.1) 2. The new role of science 과학의 새 역할 84:7.6 (940.2) 3. The new function of pleasure lures 의향(意向) 매력의 새 기능 84:7.7 (940.3) 4. The enhancement of parental instinct 어버이다운 본능의 향상.

84:7.8 (940.4) But the home as an institution, a partnership between one man and one woman, dates more specifically from the days of Dalamatia, about one-half million years ago, the monogamous practices of Andon and his immediate descendants having been abandoned long before. 그러나 제도로서 가정, 한 남성과 한 여성 사이의 동반자 관계는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안돈과 그 직계 후손의 일부일처 관례가 오래전에 버려졌던, 거의 50만 년 전, 달라마시아 시절부터 시작합니다.

84:7.9 (940.5) The early family embraced a related working group, including the slaves, all living in one dwelling. 초기 가정은 모두 한집에 사는, 노예들을 포함해서 관련 노동 집단을 포함했습니다. 84:7.10 (940.6) Love of offspring is almost universal and is of distinct survival value. 자녀 사랑은 거의 일반적이며, 명백히 생존 가치가 있습니다. 84:7.11 (940.7) The large families among ancient peoples were not necessarily affectional. 고대 민족들 사이에서 대가족들이 반드시 애정적이지는 않았습니다.

84:7.19 (940.15) Ancestor worshipers view the failure to have sons as the supreme calamity for all time and eternity. 조상 숭배자들은 아들들이 없는 것을 영구히, 영원히 최악의 불행으로 간주합니다. 84:7.20 (941.1) Among ancient savages, discipline of children was begun very early. 고대 야만인들 사이에서 자녀 훈련은 아주 일찍 시작되었습니다.

84:7.21 (941.2) Modern problems of child culture are rendered increasingly difficult by: 자녀 훈육의 현대적 문제는 다음의 이유로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84:7.22 (941.3) 1. The large degree of race mixture. 심한 혼혈(混血). 84:7.23 (941.4) 2. Artificial and superficial education. 강요된 피상적 교육. 84:7.24 (941.5) 3. Inability of the child to gain culture by imitating parents. 아이가 부모를 본받아서 양육될 수 없음

84:7.25 (941.6) The olden ideas of family discipline were biologic, growing out of the realization that parents were creators of the child’s being. 가정 훈육의 오래된 개념은 생물학적이었는데, 부모들이 아이 존재의 창조자들이라는 인식에서 생겼습니다. 84:7.26 (941.7) Civilization regards the parents as assuming all duties, the child as having all the rights. 문명은, 부모가 모든 책임을 떠맡고, 자녀는 모든 권리를 지닌 것으로, 간주합니다.

84:7.27 (941.8) In the present industrial and urban era the marriage institution is evolving along new economic lines. 현재의 산업적 도시 시대에, 결혼제도는 새로운 경제 노선을 따라 진화하고 있습니다. 84:7.28 (941.9) The family is the fundamental unit of fraternity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learn those lessons of patience, altruism, tolerance, and forbearance which are so essential to the realization of brotherhood among all men. 가정은, 부모와 자녀들이, 모든 사람 사이에서 형제 사랑의 실현에 아주 본질적인, 참을성, 애타(愛他)주의, 너그러움과 자제심의 그런 교훈을 배우는, 기본적인 형제 우애 단위입니다.

84:7.29 (941.10) In an ideal family filial and parental affection are both augmented by fraternal devotion. 이상적(理想的)인 가정에서, 우애(友愛)적 헌신으로, 효성스러운 애정과 어버이다운 애정 둘 다 늘어납니다.

84:7.30 (942.1) A true family — a good family — reveals to the parental procreators the attitude of the Creator to his children, while at the same time such true parents portray to their children the first of a long series of ascending disclosures of the love of the Paradise parent of all universe children. 참된 가정 – 좋은 가정은 출산 어버이에게, 자기 자녀들 대한 창조주의 태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그런 참된 부모는 자기 자녀들에게, 일련의 긴 상승 단계 중 첫째로, 모든 우주 자녀들의 천국 부모의 사랑을 생생하게 드러내며 묘사합니다.

8. Dangers of Self-Gratification 자아-충족의 위험들

84:8.1 (942.2) The great threat against family life is the menacing rising tide of self-gratification, the modern pleasure mania. 가정생활의 최고 위협은 위협적으로 증가하는, 현대의 쾌락증(症), 자아-충족의 풍조입니다. 84:8.2 (942.3) Originally, property was the basic institution of self-maintenance, while marriage functioned as the unique institution of self-perpetuation. 원래 재산은 자아-유지의 기본 제도였던 반면에 결혼은 자아-영속의 유일한 제도로 기능했습니다.

84:8.3 (942.4) The violet race introduced a new and only imperfectly realized characteristic into the experience of humankind — the play instinct coupled with the sense of humor. 보라 인종이 새로우며, 겨우 불완전하게 실현된 특성, 즉 유머 감각과 결부된 놀이 본능을 인류의 체험으로 받아들였습니다. 84:8.4 (942.5) Vanity and fashion cannot minister to home building and child culture. 허영(虛榮)과 유행(遊行)은 가정 설립과 자녀 양육에 도움이 될 수 없습니다. 84:8.5 (942.6) All efforts to obtain wholesome diversion and to engage in uplifting play are sound. 건전한 유희(遊戲)를 얻고 향상하는 놀이에 참여하려는 모든 노력은 정상적입니다.

84:8.6 (943.1) Self-gratifications have indeed cost a fatal price if they bring about the collapse of marriage, the decadence of family life, and the destruction of the home — man’s supreme evolutionary acquirement and civilization’s only hope of survival. 자아-충족들이 결혼의 붕괴, 가정생활의 타락과 사람의 최고 진화적 성취이며 문명이 생존할 유일한 희망인, 가정의 파괴를 초래한다면, 그것은 정말 치명적인 대가를 치릅니다.